-
[용어 개념]스위치, 라우터 차이Computer Science🖥️/Network 2020. 10. 18. 09:56
*개인 공부를 위해 블로그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chlalsdud61/220744988172]
[출처: https://server-engineer.tistory.com/582 [HelloWorld]]
리피터, 허브, 브릿지, L2 스위치, 라우터, L3 스위치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
layer 1 장비 - 리피터, 허브
layer 2 장비 - 브릿지, L2 스위치
layer 3 장비 - 라우터, L3 스위치
현재 리피터는 허브로, 브릿지는 스위치에게 역할을 알려주고 안나오는 장비들이다.
//L2 스위치는 하위 레이어 장비인 허브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L3 스위치는 L2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허브 대신 L2 스위치나 L3 스위치를 사용 가능하다. 다만 상위 계층의 장비일수록 비싸다는 것.
1. 라우터: '네트워크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기
- 라우터에 의해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 라우터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이를 '라우팅'이라고 한다.
-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라우팅 테이블에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해두어야 한다.
-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가 목적지인 데이터는 라우터에 의해 파기된다.
2. 스위치: '같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기
- 스위치는 PC나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 입구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 스위치는 MAC 주소를 사용하여 같은 네트워크의 LAN 포트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 MAC 주소는 48비트의 LAN 포트 주소이다.
가운데 회색 - 스위치 -스위치, 라우터의 데이터 전송 특징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vs HTTPS (with SSL, 대칭키, 공개키) (0) 2024.10.24 HTTP의 GET, POST 방식 비교 (2) 2023.08.31 TCP/UDP 개념 정리 (0)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