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
[ADO.NET] ADO.NET & Dapper 개념 및 차이Computer Science🖥️ 2025. 3. 16. 23:14
ADO.NET 과 Dapper 의 사용 이유.NET을 사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DB에 연결하는 것에 ADO.NET을 사용하였는데요.ADO.NET은 .NET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DB 액세스 라이브러리 입니다.제 경우, MSSQL(DB)를 사용하고 있는데, MSSQL에 쉽게 연결 및 쿼리문 실행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ADO.NET 입니다.최근 ADO.NET을 사용하다가 Dapper를 사용하면 연결 코드가 훨씬 깔끔하고 간단하다는 것을 보고 사용했기에 이를 정리하려 합니다!Dapper란 무엇이냐면, ADO.NET 기반으로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 연결 라이브러리인데요.ADO.NET의 Connection, Adpater, Command 등을 이용해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했던 것과 달리 Dapper함수를 사용..
-
[MSSQL] Recursive CTE & 조직도Computer Science🖥️ 2025. 3. 2. 23:41
이번에 CTE, Recursive CTE(재귀 CTE)를 보며대표적인 재귀 CTE의 예시로 조직도를 표현하는 방식이 많은데, 대댓글 표현할 때도 아예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해서 넘겨주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가져와보았다..*먼저, CTE(Common Table Expression)란?기존의 뷰나 파생 테이블, 임시 테이블 등으로 사용 되는 것을 대신해 더 간결하게 표현하려고 사용하는 것이다.결국 뷰, 서브쿼리 역할을 하지만 WITH 라는 문구를 앞에 제시하면서 가독성 측면, 재귀 쿼리 같은 표현이 가능해지기에 사용하고 있다.우선 임시테이블처럼 데이터를 저장하진 않고, 세션기준으로 유지되는 것이지만 그래서 더욱 탐색 속도는 빠르므로, 구조를 빠르게 판단하기에 좋은 구조인 것 같다. 기본적인 CTE문은 ..
-
RESTful API란 무엇인가?Computer Science🖥️ 2024. 11. 15. 22:57
면접 단골 질문에, 채용 공고에도 많이 써있는 이 API는 왜 써있는 걸까?내가 프로젝트 하면서 보던 API들이랑은 뭐가 다른건가? 의 궁금증에서 시작된 글 시작~!RESTful API란?:REST(Represe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REST는 웹의 기본 프로토콜인 HTTP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의된 아키텍처 설계원칙이다.이러한 REST 아키텍처의 설계 원칙은 크게 6가지를 가진다.이 원칙을 잘 지킨 API를 우린 RESTful API 라고 부른다.REST 원칙 Uniform Interface(일관된 인터페이스)Stateless(무상태성)Caching(캐싱 가능성)Client-Server(클라이언트-서버 구조..
-
HTTP vs HTTPS (with SSL, 대칭키, 공개키)Computer Science🖥️/Network 2024. 10. 24. 18:38
이 둘에 대해 매번 찾다가 결국 암호화 방식까지 궁금해서 다 찾게 되었다.매번 대칭키, 공개키를 볼때마다 찾는 것 같아서 ㅎ… 정리하려고 한다.HTTP vs HTTPSHTTP(Hyptertext Transfer Protocol)는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로, 주로 웹 브라우저 &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이다.HTTP의 통신이 상대를 확인하지 않고 요청을 주고 받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데..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HTTP + SSL 로 통신 내용을 암호화 하는 방식인 “HTTPS 프로토콜”이 나오게 된다.SSL이란 ?SSL(Secure Sockets Layer)가 발전되게 TLS로 버전업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SSL은 위와같이, HTTP - TCP의 직접..
-
HTTP의 GET, POST 방식 비교Computer Science🖥️/Network 2023. 8. 31. 10:53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OSI 7계층의 프로토콜 중 하나로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프로토콜 입니다.GET, POST 방식: 둘다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GEThttp request message(7계층에선 단위를 message)의 헤더부분에 url이 담겨서 전송된다.ex. 그렇기 때문에 url에서 ? 뒤에 데이터가 붙어 request를 보내게 된다.이러한 방식은 데이터가 url 공간에 담겨가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이다.또한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엔 url에 그대로 노출 되므로 GET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ex. login 의 password 등)POSTpost방식의 reques..
-
브루트 포스(brute force) 기법Computer Science🖥️/Algorithm 2022. 6. 23. 06:09
브루트 포스(brute force) 완전탐색 알고리즘. 즉,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모두 탐색하면서 요구조건에 충족되는 결과만을 가져온다. 이 알고리즘의 강력한 점은 예외 없이 100%의 확률로 정답만을 출력한다. 알고리즘 설계의 가장 기본적인 접근 방법은 해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영역을 전체 탐색하는 방법이다. 선형 구조(저장되는 자료의 전후관계가 1:1 )를 전체적으로 탐색하는 순차탐색, 비선형 구조(데이터 항목 사이의 관계가 1:n 또는 n:m (트리, 그래프)) 전체를 탐색하는 깊이 우선 탐색(DFS), 너비 우선 탐색(BFS) *너비 우선 탐색은 브루트 포스와 관련이 깊고, 깊이 우선 탐색은 다음에 작성될 백트래킹과 관련이 깊음 문제해결 방법 주어진 문제를 선형 구조로 구조화한다. 구..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Computer Science🖥️/Algorithm 2022. 6. 17. 16:09
수학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알고리즘 2부터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모든 수를 나열한다. 그림에서 회색 사각형으로 두른 수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2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를 쓴다. (빨간색)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남아있는 수 가운데 3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3을 쓴다. (초록색)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남아있는 수 가운데 5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5를 쓴다. (파란색) 자기 자신을 제외한 5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남아있는 수 가운데 7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7을 쓴다. (노란색) 자기 자신을 제외한 7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 구하는 구간의 모든 소수가 남는다. 그림의 경우, 11^{2}>120이므로 1..
-
01_Introduction to AIComputer Science🖥️/Artificial Intelligence 2021. 12. 10. 00:53
1. AI : intelligent(지능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컴퓨터 software를 만드는 것. 2. Machine Learning - AI의 하위 분야 - 패턴 인식과 컴퓨터 학습 이론에 대한 분야 - 자동으로 데이터로부터 규칙을 배우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Supervised Learing : 지도 학습은 훈련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기계 학습의 한 방법. - predictive approach(예측적 접근) - input에서 output으로 가는 것을 어떻게 맵핑하는지 배워야한다 - ex) classification(분류), regression(회귀) Unsupervised Learning - descriptive approach(기술적 접근) - data에서 int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