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Python
-
sort, sorted 의 차이Computer Science🖥️/Python 2021. 8. 1. 01:01
정렬이 필요할 때 sort 를 쓰다가 우연히 sorted 를 보고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써본다. sort() - 해당 리스트를 그 자리에서 (in-place)정렬하고 목록 인덱스를 변경하며 None을 반환한다. a = [5, 2, 3, 1, 4] a.sort() >>>[1, 2, 3, 4, 5] a >>>[1, 2, 3, 4, 5] sorted() - new로 정렬된 목록을 반환하며, 원래 목록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a = [5, 2, 3, 1, 4] sorted(a) >>>[1, 2, 3, 4, 5] a >>>[5, 2, 3, 1, 4] - sorted() 는 list뿐 아니라 반복 가능한 모든 작업에 적용 가능하다.(iterable) - iterable 객체인 문자열, 튜플, 딕셔너리, 제너레이터..
-
파이썬 배열(array)은 listComputer Science🖥️/Python 2021. 6. 12. 04:42
친구가 파이썬 과제중 나에게 배열에 대해 물어보길래 이렇게 쓰게 됐다. 내가 알기로 파이썬의 배열 개념은 list, tuple 인데 본인은 array를 쓴다고 했기 때문. 알고보니 Numpy를 써서 그랬던 것이었다. 많은 숫자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넣고 관리 할 경우 리스트는 속도가 느리고 메모리 차지가 많아 단점이 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배열(array)의 특성상 리스트 보다 비교적 적은 메모리로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1. 모든 원소가 같은 자료형 2. 원소의 갯수 불변 파이썬 자체적으로는 배열 자료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열을 구현한 다른 패키지를 임포트해야한다. 파이썬에서 배열을 사용하기 위한 표준 패키지는 넘파이(NumPy)다. 넘파이는 수치해석용 파이썬 패키지이다...
-
이터러블(iterable) & 이터레이터(iterator) 차이Computer Science🖥️/Python 2021. 5. 31. 20:38
- 반복가능한 객체 (iterable) : 요소(element)가 여러 개 들어있고, 한 번에 하나씩 꺼낼 수 있는 객체 ex) 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 세트 객체가 iterable 인지 알아보는 방법 : 객체의 내장함수에 __iter__이 존재하면 iterable 한 객체임. #객체의 내장함수 확인해 보는 방법 >>> dir(객체) 이 리스트에서 __iter__() 호출하면 이터레이터(iterator)가 나온다. 즉, iterable 객체의 __iter__()를 호출하면 그 객체의 iterator를 생성한다. - iterator : 내장함수로 __next__()를 갖고 있으며 이 함수로 객체의 다음 요소를 불러낼 수 있다. 리스트의 이터레이터를 변수에 저장한 뒤에 __next__메서드를 갖고 있는지..
-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 문자열Computer Science🖥️/Python 2021. 1. 28. 15:08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숫자형(Number) :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 1) 숫자형 자료형 항목 파이썬 예시 정수(Integer) 123, -345, 0 실수(Floating-point) 123.45, -1234.5, 3.4e10 8진수(Octal) 0o34, 0o25 16진수(Hexadecimal) 0x2A, 0xFF * 실수형 a = 4.24E10 a = 4.24e-10 위와 같이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으로 파이썬에선 e와 E 둘 중 에 하나로 실수형을 표현하기도 한다. 여기서 4.24E10 은 4.24*10^10 을 의미한다. * 8진수 :0o 또는 0O(숫자 0 +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대문자 O)로 시작하면 된다. * 16진수 : 0x 로 시작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