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
이터러블(iterable) & 이터레이터(iterator) 차이Computer Science🖥️/Python 2021. 5. 31. 20:38
- 반복가능한 객체 (iterable) : 요소(element)가 여러 개 들어있고, 한 번에 하나씩 꺼낼 수 있는 객체 ex) 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 세트 객체가 iterable 인지 알아보는 방법 : 객체의 내장함수에 __iter__이 존재하면 iterable 한 객체임. #객체의 내장함수 확인해 보는 방법 >>> dir(객체) 이 리스트에서 __iter__() 호출하면 이터레이터(iterator)가 나온다. 즉, iterable 객체의 __iter__()를 호출하면 그 객체의 iterator를 생성한다. - iterator : 내장함수로 __next__()를 갖고 있으며 이 함수로 객체의 다음 요소를 불러낼 수 있다. 리스트의 이터레이터를 변수에 저장한 뒤에 __next__메서드를 갖고 있는지..
-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 문자열Computer Science🖥️/Python 2021. 1. 28. 15:08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숫자형(Number) :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 1) 숫자형 자료형 항목 파이썬 예시 정수(Integer) 123, -345, 0 실수(Floating-point) 123.45, -1234.5, 3.4e10 8진수(Octal) 0o34, 0o25 16진수(Hexadecimal) 0x2A, 0xFF * 실수형 a = 4.24E10 a = 4.24e-10 위와 같이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으로 파이썬에선 e와 E 둘 중 에 하나로 실수형을 표현하기도 한다. 여기서 4.24E10 은 4.24*10^10 을 의미한다. * 8진수 :0o 또는 0O(숫자 0 +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대문자 O)로 시작하면 된다. * 16진수 : 0x 로 시작하면 된다. /..
-
[용어 개념]스위치, 라우터 차이Computer Science🖥️/Network 2020. 10. 18. 09:56
*개인 공부를 위해 블로그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chlalsdud61/220744988172] [출처: https://server-engineer.tistory.com/582 [HelloWorld]] 리피터, 허브, 브릿지, L2 스위치, 라우터, L3 스위치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 layer 1 장비 - 리피터, 허브 layer 2 장비 - 브릿지, L2 스위치 layer 3 장비 - 라우터, L3 스위치 현재 리피터는 허브로, 브릿지는 스위치에게 역할을 알려주고 안나오는 장비들이다. //L2 스위치는 하위 레이어 장비인 허브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L3 스위치는 L2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허브 대신 L2 스위치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