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테] chap 1.3 복잡도Algorithm PS👩🏻💻/개념 2023. 4. 20. 13:18
복잡도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크게 아래 2가지를 의미하며, 둘은 trade-off 관계를 가진다.-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을 위해 필요한 연산의 횟수
-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을 위해 필요한 메모리의 양
시간 복잡도
- 시간 복잡도를 표현할 때는 빅오(Big-O) 표기법을 사용한다.
간단히 정의하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만을 고려하는 표기법이다. - 예로 아래 소스코드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부분은 N에 비례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반복문 부분이므로 시간을 O(N) 으로 표기한다.
array = [3, 5, 1, 2, 4] summary = 0 for x in array: summary += x print(summary) #15
'Algorithm PS👩🏻💻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코테] chap7. 이진 탐색 (0) 2023.05.03 [이코테] chap6. 정렬 (0) 2023.04.23 [이코테] chap5-3. 음료수 얼려먹기 (0) 2023.04.23 [이코테] chap5. DFS/BFS (0) 2023.04.22 [이코테] chap4. 구현 (1) 2023.04.21